728x90
728x90
오브젝트 활성화 Active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UnityEngine; public class cube : MonoBehaviour { public GameObject CubeObj; bool cubeFlg; void Update() { if (Input.GetMouseButtonDown(0)) { cubeFlg = CubeObj.activeSelf; CubeObj.SetActive(!cubeFlg); } } } 라이트 활성화 enable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UnityEngine; public class lig..
LookAt()함수는 게임 오브젝트를 지정한 방향/오브젝트를 향해 trasform해주는 함수이다. 쉽게 말해서 특정 오브젝트가 target오브젝트를 바라보게 하는 함수인 것 RPG 게임 내에서 내 캐릭터와 적의 캐릭터가 가까워졌을 때 적 캐릭터가 내 캐릭터를 바라보게 만드는 기능을 수행 (적 캐릭터가 따라가거나 물리적 충돌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또한 카메라에 LookAt()함수를 적용하면 지정된 오브젝트를 카메라가 따라가게 만드는 연출 효과를 만들 수 있다. Find()함수는 특정 오브젝트를 찾기 위해 쓰는 함수이다. 보통 GameObject.Find(string) 또는 GameObject.FindGameObjectWithTag(string) 형식으로 입력한다. 부모-자식 계층화를 통해 자식 오브젝트가..
RPG게임을 하다보면 캐릭터를 이동시킬 때 클릭한 좌표로 캐릭터가 장애물들을 피해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플레이어가 장애물을 피해 특정 좌표를 향해 최단거리로 이동하는 기능을 유니티에서 제공하고 있다. 유니티에서 제공하는 NavMesh AI를 활용하여 장애물 오브젝트들과 Enemy를 피해 움직이는 player 미니게임을 만들어보기러 했다. 플레이 범위는 Walls 내로 좁혔고, Sphere/Cube/Cylinder 장애물들을 배치했다. 먼저 PlayMode에서 좌클릭 시 해당 좌표로 플레이어가 이동하는데 배치된 장애물들을 피해 최단 동선으로 찾아가는 Navigation AI를 사용해야 한다. Window - AI - Navgation에 들어가면 우측 Inspector 창 옆에 Navigation 창이 새..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 새 글 쓰기 |
W
W
|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 맨 위로 이동 |
T
T
|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