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전역변수 & 지역변수 C# 스크립트 작성 시 클래스 안에 다양한 변수를 설정한다. 하지만 때때로 함수가 변수들을 읽지 못해 유니티 에디터에서 컴파일 에러가 뜨기도 하고, 이상한 버그들도 발생하곤 한다. 개발할 때 매우 기본이 되는 내용이지만 오히려 모르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기에 때문에, 전역변수와 지역변수에 대해 기본적인 개념을 꼼꼼히 짚어보도록 하겠다. 먼저, 한 클래스 안에서 동일한 이름의 지역/전역 변수가 존재한다면 지역 변수가 전역 변수보다 먼지 인지된다. 그리고 전역 변수는 지역 변수를 모르지만, 지역 변수는 전역 변수를 알고 있다. 이는 컴파일러 실행과 관련되어 설명할 수 있는데 우리가 유니티 에디터에서 플레이 버튼을 누르면 컴파일러는 "코드 -> static(정적 메모리 공간) -> stac..
그래프 - G = (V, E) - 정점(Vertex) : 노드 - 간선(Edge) : 정점끼리 연결 선 - 그래프의 종류 순환 그래프 비순환 그래프 - 가중치 그래프 - 그래프의 표현 : 인접 리스트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Text;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Listgraph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그래프"); Graph gr = new Graph(); var v1 = gr.AddVertex("서울"); var v2 = gr.AddVert..
트리(Tree)란? 자료 간의 관계가 계층 구조일 때 사용하는 비선형 자료구조이다. - 트리는 노드(node)로 이루어진 자료구조 - 트리는 하나의 루트 노드를 갖는다. - 루트 노드는 -개 이사의 자식 노드를 갖고 있다. - 그 자식 노드 또한 0개 이상의 자식 노드를 갖고 있고, 이는 반복적으로 정의된다. 트리(Tree)와 관련된 용어 부모 노드 & 자식 노드 = 서브 트리 같은 레벨 간 노드들 = 형제 노드 트리(Tree)의 특징 - 그래프의 한 종류이다. '최소 연결 트리'라고도 불린다. - 트리는 계층 모델이다. - 트리는 DAG(Directed Acycle Graphs, 방향성이 있는 비순환 그래프)의 한 종류이다. - 노드가 N개인 트리는 항상 N-1개의 간선(edge)을 가진다. - 루트에..
힙정렬(Heap sort)이란? 힙은 완전 이진 트리 구조를 가진 자료구조이다. 이 힙의 특성을 이용하여 정렬하는 것이 힙정렬(Heap sort)이다. - 최소값 혹은 최대값을 빠르게 가져오기 위해 고안됨. - 형제노드 사이에서는 아무런 대소 관계가 정해져 있지 않음. public void SortHeap() { int[] nArrData = { 20, 35, 15, 5, 40, 10, 25, 30 }; for (int i = (nArrData.Length - 1)/2; i >= 0; --i) { CalcHeap(nArrData, i, nArrData.Length); } for(int i = nArrData.Length - 1; i>0; --i) { SwapHeap(ref nArrData[i], ref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