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퀵정렬(Quick sort)이란? 퀵정렬은 피봇을 기준으로 작거나 같은 값을 지닌 데이터는 앞으로, 큰 값을 지닌 데이터는 뒤로 가도록 하여 작은 값을 갖는 데이터와 큰 값을 갖는 데이터로 분리해가며 정렬하는 방법이다. 1. 분할 정복 알고리즘 2. 일반적으로 빠른 알고리즘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Text;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quicksort { class Program { static int[] data = { 25, 15, 60, 45, 10, 20, 5, 30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
버블정렬(Bubble sort)이란? 버블 정렬은 서로 이웃한 데이터들을 비교하며 가장 큰 데이터를 가장 뒤로 보내는 정렬방식이다. 1. 첫번째 데이터와 두번째 데이터를 비교하여 첫번째 값이 더 크면 두번째 데이터와 교환한다. 2. 두번째 데이터와 세번째 데이터를 비교하여 더 큰 수를 뒤로 보낸다. 3. 이렇게 끝까지 진행하면, 제일 큰 숫자가 맨 뒤로 가게 된다. 이렇게 계속 처음부터 n-1번째 데이터를 비교해서 정렬하 는 알고리즘이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Text;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BubbleSort { class Progr..
재귀호출(recursive call)이란? 재귀호출(recursive call)이란 함수 내부에서 자기 자신을 반복적으로 호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복 행위를 하는 함수를 재귀함수(recursive function)라고 한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지만 알고리즘을 구현할 때 매우 유용하다. 알고리즘에 따라서 반복문으로 구현한 코드보다 재귀호출로 구현한 코드가 더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쉽다. 복잡한 문제를 빠르고 쉽게 해결할 수 있다. - 팩토리얼(Factorial) 정규식 f(n) = n * (n-1) //단, f(1) = 1 //5! = 5 x 4 x 3 x 2 x 1 = 120 public int FuncFactorial(int nNumber) { int nResult = 0; if(nNu..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